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폐수에 비용해 되어 있는 물질을 물과 분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폐수에 성상변화는 기대 할 수 없고, 협잡물처리, 여과, 중력첨당 등을 통하여 2차 처리에 대한 부하를 감소하며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고형물질을 제거 하는 방법이다. 물리적 처리는 첨전지, 첨사지, 스크린 등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의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부유물, 고형물질을 제거 하는 방법이다.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 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1.스크린(Screen)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일차적으로 폐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부피가 큰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로 망을 설치하여 협잡물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거한다.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2.첨사지(Grit chamber)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일반적인 침전의 한 형태로 입경이 큰 모래나 자갈 등을 제거 하는 시설로 수직류식, 수평류식, 폭기식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등이 있다.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3.침전(Sedimentation)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 고도 처리의 최종처리 시설에 해당이 되며,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처리시설이다. 체류시간 (3-6hr), 유효수심(2-4m), 수면적부하(25-40㎥/m.d) 등이 설계의 중요한 요인으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용을 한다.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4.부상(Floatation) 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침전의 반대적인 처리방식이며, 비교적 가벼운 물질을 포함하는 폐수나 기타 폐수의 성상에 따라서 침전을 할 수 없을 경우 상부처리를 한다.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5.여과(Filteration) 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후 페수중에 잔류하는 메세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는 고도 처리에 포함이 되나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의 슬러지를 처리하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. |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6.흡착(Adsorption) :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여과 시설을 거친 처리수 또는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하여 잔존 BOD, COD의 제거 탈취, 합성세제의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이다. |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 |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