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 | 일반적으로 생물학 처리는 미생물이 폐수중의 유기물을 먹이로 하여 분해하여 폐수를 정화시킨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생물학 처리는 주로 고농도 폐수나,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할 때 그리고 화학적 처리를 통과한 폐수가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처리가 완전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생물학적처리에는 크게 호기성처리법과 혐기성처리법으로 구분이 된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호기성처리의 대표적인 방식에는 활성슬러지공법과   살수여상법등이 있으며, 혐기성처리의 대표적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방식에는 메탄발효공법이 있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호기성 처리는 산소를 필요로 하는   방식이며 유기물질이 미생물 세포로 전환 되고, 미생물 세포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거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하며, 호기성 박테리아, 원생동물, 후생동물 등이 관여를 하며 혐기성 처리는   유기물질이 1단계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기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산과 알코올로 전환되고 2단계로 CH4와 CO2로 전환되며, 혐기성 박테리아인산 생성균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메탄   생성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이 여기에 관여 한다. |